책소개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1권
조선중기(朝鮮中期) 한의학(韓醫學) 집대성자(集大成者)
구암(龜巖)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강조(强調)하는 건강비결(健康秘訣)을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한다면, 무위자연(無爲自然)하며 소요유(逍遙遊)하라는 것이다.
무위자연(無爲自然)한다는 것은, 만사(萬事)를 억지로 하지 않고 자연(自然)스럽게 한다는 의미(意味)다. 소요유(逍遙遊)한다는 것은, 아득한 여행자(旅行者)처럼 여유(餘裕)로운 마음으로 노닌다는 의미다.
이는, 허준(許浚)의 시대(時代)는 물론이며, 저 먼 상고시대(上古時代)로부터 전해지는, 동양문명(東洋文明) 최상(最上)의 건강비결(健康秘訣)이다.
그런데 인류문명(人類文明)은 줄곧, 인간존재(人間存在)가 무위자연(無爲自然)이나 소요유(逍遙遊)할 수 없는 방향(方向)으로만 진행(進行)되어 왔다.
특히, 근대(近代) 아편전쟁(阿片戰爭) 이후(以後), 서양문명(西洋文明)이 동양문명(東洋文明)에 대(對)해 완벽(完璧)한 승리(勝利)를 거두며, 서양문명의 세계지배(世界支配)가 시작(始作)되면서, 더욱 그러하다.
21세기(世紀) 현재(現在)에 이르러서는, 더 말할 나위 없다. 더욱이 그런 상황(狀況)을, 발전(發展)이나 진보(進步)라고 규정(規定)하기까지 한다.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나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분석(分析)처럼, 인간존재(人間存在)가 문명(文明)에 적응(適應)하여 생존(生存)기 위해서는, 노동(勞動)이라는 착취적(搾取的) 불만(不滿)을 부득이(不得已)하게 수용(受容)해야만 한다.
그런데 그런 부득이(不得已)한 수용(受容)의 대표적(代表的)인 대가(代價)가, 바로 건강(健康)의 희생(犧牲)이다.
생존(生存)을 위한 노동(勞動)에 종사(從事)함으로써 생계(生計)는 유지(維持)되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이라서, 건강(健康)을 그 대가로 희생(犧牲)해야만 하는 것이다.
-하략-
저자소개
저자 : 허준(탁양현 옮김)
옮긴이 탁양현
≪인문학 여행자의 동아시아 여행기≫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니체 철학≫
목차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1권
조선중기(朝鮮中期) 한의학(韓醫學) 집대성자(集大成者)
구암(龜巖) 허준(許浚)
1장. 이정구(李廷龜)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서문(序文),
동의보감서(東醫寶鑑序)
2장. 동의보감(東醫寶鑑)이라는 제목(題目)의 연원(淵源), 집례(集例)
3장. 몸의 모양과 오장육부(五臟六腑)에 관하여,
신형장부도(身形藏府圖)
4장. 몸의 모양, 신형(身形)
1. 형상(形狀)과 기운(氣運)의 시작(始作), 형기지시(形氣之始)
-하략-
5장. 양생(養生)하여 수명(壽命)을 연장(延長)하는 약(藥),
양성연년약이(養性延年藥餌)
1. 경옥고(瓊玉膏)
-하략-
6장. 신통(神通)한 효험(效驗)이 있는 단방약(單方藥), 단방(單方)
1. 황정(黃精, 층층둥굴레)
-하략-
7장. 신묘(神妙)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方法), 신침법(神枕法)
8장. 연제법(煉臍法, 배꼽 단련법), 훈제비방(熏臍秘方, 배꼽 훈증법),
구제법(灸臍法, 배꼽 뜸뜨는 법)
1. 연제법(煉臍法, 배꼽 단련법)
-하략-
9장. 부록(付祿) 노인(老人)을 부양(扶養)해야 한다, 부양로(附養老)
1. 노화(老化)는 혈(血)이 쇠(衰)하기 때문이다, 노인혈쇠(老因血衰)
-하략-
도서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하시면 통합포인트를 드립니다.
결제 90일 이내 작성 시 300원 / 발송 후 5일 이내 작성시 400원 / 이 상품의 첫 리뷰 작성 시 500원
(포인트는 작성 후 다음 날 적립되며, 도서 발송 전 작성 시에는 발송 후 익일에 적립됩니다.
외서/eBook/음반/DVD/GIFT 및 잡지 상품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