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한국 현대문학 단편소설
이효석 모음집 [큰 글씨 특별판]
- 이효석 BEST 단편소설
* [작가 소개]
이효석
李孝石 (1907-1942) 호는 가산(可山). 소설가.
강원도 평창(平昌) 출생. 경성제국대학 영문과 졸업하였다. 1928년 자유노동자의 생활을 취재한 [도시와 유령](1928)을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등장했다. 또한 교우 동인지인 [문우] [청량] 등에 습작 시 [동(冬)의 시장] [유월의 조(朝)] 등을 발표하였다. 1932년경 한때 총독부 도서과 검열계에 취직했던 일로 비난을 받아 한동안 작품 활동을 중지했다가 1933년 [돈(豚)]을 발표했다.
그 이후로 종래의 경향성을 버리고 [메밀꽃 필 무렵] [산] [여수] 등 자연에의 귀의와 서정성이 풍부한 작품을 쓰기 시작하였다. 1936년에 발표된 [메밀꽃 필 무렵]은 광복 이전 우리 문학의 대표작이다. 장편소설 대표작으로 [화분] [거리의 목가] [황제] [성화] 등이 있다.
평양 대동공전의 교수로 있다가 1942년 36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 [작품 해설]
# [메밀꽃 필 무렵] 작품
이효석(李孝石)의 단편소설. 1936년 에 발표. 한국 현대 단표소설의 대표작의 하나로 꼽히는 작품이다. 왼손잡이요, 곰보인 허생원은 장돌뱅이다. 그 허생원이 봉평장이 서던 날, 같은 장돌뱅이인 조선달을 따라 충주집으로 갔다. 그는 동이라는 애송이가 충주댁과 농탕을 치는 것에 화가 나서 뺨을 때려 쫓아버린다.
그러나 그 날 밤 그들 셋은 달빛을 받으며 메밀꽃이 하얗게 핀 산길을 걸었다. 허생원은 젊었을 때 메밀꽃이 하얗게 핀 달밤에 개울가 물레방앗간에서 어떤 처녀와 밤을 같이 새운 이야기를 한다. 동이도 그의 어머니 이야기를 했다. 아버지가 누군지도 모르고 의붓아버지 밑에서 고생하다가 집을 뛰쳐나왔다는 것이다. 늙은 허생원은 냇물을 건너다 발을 헛디뎌 빠지는 바람에 동이의 등에 업힌다. 그리고 동이 모친의 친정이 봉평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동이가 자기와 똑같이 왼손잡이인 것을 안 허생원은 착잡한 감회에 젖으나, 이내 그들은 동이 어머니가 살고 있다는 제천으로 발길을 옮긴다. 전편(全篇)에 시적(詩的)정서가 흐르는 따뜻하고 애틋한 소설이다.
작자는 이 작품에서 '애욕(愛慾)의 신비성을 다루려 했다'고 그의 논문 에서 밝히고 있다. * 참고 문헌[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목차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한국 현대문학 단편소설
이효석 모음집 [큰 글씨 특별판]
- 이효석 BEST 단편소설
목차
머리말
제1편 오후의 해조
제2편 일기
제3편 오리온과 능금
제4편 깨뜨려지는 홍등
제5편 돈(豚)
제6편 수탉
제7편 분녀
제8편 메밀꽃 필 무렵
제9편 장미 병들다
제10편 계절
도서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하시면 통합포인트를 드립니다.
결제 90일 이내 작성 시 300원 / 발송 후 5일 이내 작성시 400원 / 이 상품의 첫 리뷰 작성 시 500원
(포인트는 작성 후 다음 날 적립되며, 도서 발송 전 작성 시에는 발송 후 익일에 적립됩니다.
외서/eBook/음반/DVD/GIFT 및 잡지 상품 제외)